미디어를 이용하는 우리 모두가 한번쯤 겪은 광고 관련 불편 사항들, 그런데 정말로 해당 광고가 본인에게 필요한 정보인가요?
우리는 종종 비디오 플랫폼에서 원하는 콘텐츠를 보기 위해 ‘스킵’ 버튼이 나올 때까지 짜증을 내며 광고를 참아내곤 합니다. 이처럼 화면에 나타난 광고는 사용자의 기분을 상하게 만들뿐더러, 로딩 시간의 지연이나 오류 발생으로 인한 더욱 심한 불만을 유발하기도 하죠. 또한 자동 재생되는 음성 광고는 너무 크게 소리가 나와 곤혹스러운 순간들을 안겨주기도 합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문제는 바로 “광고의 적절성”입니다. 제가 당신에게 ‘당신에게 얼마나 관련 있는 광고입니까?’라는 질문을 한다면 대부분의 분들이 ‘그다지’ 혹은 ‘전혀’라고 답할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광고들은 사용자의 관심사나 필요성과 크게 벗어난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입니다.
정말로 사용자가 원하는 광고, 그것은 과연 무엇일까요? 우리는 많은 정보를 통해 소비생활을 이끌어가지만, 한편으로는 넘치는 정보에 대한 고통을 겪습니다. 그러므로 중요한 것은 개인에게 가장 적합하고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런 면에서 광고도 예외는 아닙니다.
우리 모두가 어디서든 접할 수 있는 광고들이 우리 개개인의 필요성에 맞추어져 있다면, 그 광고를 보는 시간도 낭비되지 않을 것입니다. 게다가 광고를 만드는 기업들 입장에서도 타겟 고객에게 더욱 정밀하게 자신들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알릴 수 있으니 일석이조겠죠.
결론적으로, 현대 사회에서 광고의 역할은 ‘판매’에서 ‘정보 제공’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오늘날 마케팅 전략에서 중요한 것은 단순히 광고를 통한 판매량 증대가 아니라, 고객에게 의미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여전히 이러한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는 광고들이 많아 사용자들의 불만을 사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동향을 보면, 더욱 첨단화되는 기술을 통해 개인화된 광고 송출이 가능해질 것입니다. 이를 위해 AI와 빅데이터 기술 등은 필수적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런 기술력을 갖춘 기업이라면 비로소 자신들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정확하게 원하는 고객에게 전달할 수 있겠죠.
하지만 너무나 많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개인화 광고는 개인정보 침해 문제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 역시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따라서 기업과 정부 모두가 사용자의 데이터 활용 및 보호에 대해 적절한 규제와 관리체계를 마련해야 함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결국 ‘좋은’ 광고란 사용자의 요구와 기대를 충족시키는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광고주, 광고 플랫폼, 그리고 사용자 모두가 상호 이해와 존중을 바탕으로 움직여야 한다는 것이 저의 견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