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국 선박들에게 미국 항구 이용료 부과를 추진하다

미국이 중국선박에 대해 새로운 항구 사용료를 부과할 계획을 발표하면서,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전쟁은 한 단계 더 격화되었습니다. 이번 조치는 앞선 중국 제품에 대한 관세 인상과 마찬가지로, “미국 제조업 복귀”를 목표로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많은 비판가들과 경제학자들은 이러한 접근법이 오히려 글로벌 경기침체를 초래하고 소비자 가격을 상승시킬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지난 주 게시한 연방 등록 공지에 따르면, 모든 중국건조 및 소유 선박이 미국 항구에 정박할 때마다 그 넷 톤수 혹은 싣고 있는 화물에 따라 요금을 부과할 예정입니다. 새로운 요금제는 약 180일 후부터 시행될 예정이며, 차질 없이 단계적으로 실행될 것입니다.

아울러 이번 공지는 올해 2월 중국 선박에 대해 포트콜 당 최대 150만 달러를 부과하는 제안을 철회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런 제안은 업계에서 넓게 반발을 샀던 바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미국 무역대표부의 잼슨 그리어 대표는 “선박과 해상운송은 미국의 경제 안보와 상업의 자유로운 흐름에 굉장히 중요하다”며, “트럼프 행정부의 조치는 중국의 선박산업 지배력을 저지하고, 미국 공급망에 대한 위협을 해소하며, 미국 건조 선박에 대한 수요를 촉진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이번 계획은 베이징에서 강력한 반응을 유발했습니다. 중국 상무부는 최근 발표된 성명에서 “중국은 강하게 불만을 표시하고 이에 대해 결사항 반대한다”며, “미국의 관련 발전을 계속 주시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 자신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올해 10월부터 중국 소유 및 운영 선박은 넷 톤당 50달러, 다음 3년간 연간 30달러씩 인상될 예정입니다. 또한 비중국 기업이 소유한 중국 건조 선박은 넷 톤당 18달러로 부과되며, 같은 기간 동안 연간 요금은 5달러씩 증가할 것입니다.

이와 같은 새로운 중국 화물선에 대한 조치는 이미 관세를 최대 145%까지 올린 트럼프와 125%의 관세를 부과하는 베이징 사이의 무역 긴장을 더욱 고조시킬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트럼프는 최근 기자들에게 “관세 인상은 어느 정도에서 사람들이 구매하지 않게 만드니 그만둘 필요가 있다”며 타협의 징후를 보였습니다. 이어 그는 모든 국가, 중국 포함, 와의 무역 협상을 원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자신의 행정부가 중국 관리들과 함께 합의점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하지만 어떤 해법이 나오든, 궁극적으로 선박 산업을 회복시키려는 이러한 행정부의 시도가 반드시 성공할 것이라고 단언하기는 어렵다. 중국은 이미 세계 최대의 경제 대국 중 하나이며, 그들의 선박산업 역시 막강합니다. 따라서 트럼프 행정부의 이번 결정이 실질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는 시간이 지나야 판명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