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재무부 장관 스콧 베센트가 중국의 관세 교섭을 거부하는 것에 대해 유감이라는 뜻으로 언급하며, 중국을 세계 무역 체제에서 ‘최악의 위반자’라고 지적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신 글로벌 이슈를 가장 쉽게 설명드리는 블로그 작가입니다. 오늘은 최근 발생한 미-중 관세 문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배경지식을 간략히 짚어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대해 104%의 관세 인상 조치를 발표한 후, 중국 역시 84%의 관세를 미국 상품에 부과하는 맞대응 조치를 취했습니다.
특히 그 사실 자체를 베센트 장관은 별다른 반응 없이 담담하게 받아들였습니다. Fox Business와의 인터뷰에서 그는 “중국이 현대사에서 가장 불균형적인 경제 체제를 가진 나라”라며, 이번 관세 전쟁은 중국에게 손해라고 밝혔습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중국이 미국으로 수출하는 규모가 미국이 중국으로 수출하는 것의 5배나 되기 때문에, “그들은 관세를 인상할 수 있지만, 그게 뭐 어때?”라는 자신감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베센트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의 ‘매우 좋은 개인적인 관계’를 계속 유지하며, 미-중 양국이 서로 협력해서 이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미국이 제조업을 더욱 강화하고, 중국이 소비 경제로 전환하는 방식으로요.
베센트 장관은 이후 발언에서 “월 스트리트는 이미 충분한 성장을 했으니 이젠 메인 스트리트 차례”라며, 앞으로 4년간 트럼프 정부의 주요 목표가 메인 스트리트의 성장일 것임을 강조했습니다. 여기서 월 스트리트와 메인 스트리트는 비유적인 표현입니다. 월 스트리트는 미국의 금융 산업과 그 주변에 몰려 있는 대기업들을, 메인 스트리트는 일반 시민과 중소기업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베센트 장관은 이미 발효된 관세가 ‘천장’이라며, 다른 국가와의 협상에서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오늘의 포스트를 요약하자면, 미-중 간의 관세 문제는 본질적으로 두 나라 사이의 경제 구조 및 무역 방향성에 대한 갈등입니다. 트럼프 정부는 미국 제조업을 보호하고 일반시민 및 중소기업의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접근 방식을 선택했고, 이 과정에서 중국과의 충돌이 불가피해진 상황입니다.
하지만 베센트 장관의 말처럼 미-중 양국이 서로 협력하여 이 문제를 해결한다면, 결코 단점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특히 중국이 소비 경제로 전환한다면, 이는 한국 같은 수출 중심 국가에게도 큰 기회가 될 수 있겠습니다. 이 점은 우리나라의 경제 정책을 세우는 데에도 참고할 만한 포인트입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글로벌 이슈 변동 사항은 우리 일상생활과 가깝게 연결되어 있으니 앞으로도 계속 주목해야 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