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 월츠가 사용한 스마트폰 앱, 해킹 사건 수사에 나서다

미국의 트럼프 전 대통령의 이전 국가안보 보좌관인 마이크 월츠가 텍스트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하던 앱이 사이버 보안 문제로 인해 잠정적으로 서비스를 중단했습니다.

이 앱은 ‘TeleMessage’라는 이름을 가진 소프트웨어로, ‘Signal’과 같은 모바일 앱을 통해 보내진 메시지를 보존하고 정리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TeleMessage는 미국 오리건에 위치한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회사인 Smarsh의 일부입니다.

Smarsh의 대변인은 “사이버 보안 사고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기 위해 외부 사이버 보안 업체를 고용하였으며, 조심스럽게 모든 TeleMessage 서비스를 일시적으로 중단하였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아직 해커들이 어떤 데이터를 가져갔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기술 뉴스 매체 404 Media에서 처음으로 이 사건을 보도하여 화제가 되었습니다. 월츠는 지난 3월에 트럼프 행정부의 고위 인사들이 예멘에 대한 미군 공습에 관한 민감한 정보를 공개한 Signal 채팅방에 실수로 Atlantic 편집장을 추가하였다는 사실이 밝혀진 이후로 큰 압박을 받아 왔습니다.

지난 주 수요일에 진행된 내각 회의에서 월츠가 핸드폰으로 TeleMessage를 이용하는 것처럼 보이는 모습이 로이터 통신사의 사진에 포착되었습니다. 해당 사진은 부통령인 JD Vance와 국무장관인 Marco Rubio 등과의 채팅 로그가 월츠의 핸드폰에 나타나 있는 것으로 보였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주 목요일에 월츠가 국가안보 보좌관 자리를 떠나 유엔 대사로 일할 예정임을 발표하였으며, 현재 상원의 승인 절차가 진행 중입니다.

또한 트럼프 첫 번째 임기 동안 국가안보회의의 최고 사이버 담당자였던 조슈아 스타인만은, 만약 TeleMessage 사용이 확인된다면 이것이 외국의 정보 수집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하였습니다. 그는 “만약 사실이라면 왜 미국 정부가 이런 외국 기술을 사용하여 메시지를 저장하려 했을까? 그것은 너무나 매력적인 정보 타겟이 될 수 있어, 그것이 악용되리라 직설적으로 가정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일단 이번 사건은 글로벌 이슈로서의 중요성 뿐 아니라 개인정보 보호, 사이버 보안 등 다양한 차원에서 우리의 관심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한편으로는 공개된 정보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관리하는지와 관련해 기업들의 책임성 문제, 반면에는 이러한 데이터 유출 문제가 국가 안보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점에서 더욱 심각성을 부여합니다. 결국 개별 회사의 문제가 아니라 IT 인프라 전반적인 취약점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과 대응 필요성을 강조하는 일례로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