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경제를 흔드는 또 다른 이슈, 멕시코의 마약 카르텔들이 기술을 활용하는 방식에 관한 글로벌 이슈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미 연방 수사국(FBI)과 함께 미국 법 집행과 강력한 멕시코 마약 카르텔 사이의 복잡한 전쟁을 그림으로 그려볼까요?
멕시코의 한 마약 카르텔이 2018년 혹은 그 이전에 해커를 고용해 멕시코 시티에 있는 FBI 고위 관계자의 동선을 추적했습니다. 놀랍게도 이 해커는 도시의 CCTV 시스템 정보를 활용해 카르텔이 FBI 정보원을 제거할 수 있게끔 정보를 제공하였다고 미 국무부 검찰감찰관이 보고서에서 밝혔습니다.
이런 일이 벌어진 배경은 바로 ‘시나로아’라는 이름의 마약 카르텔과 싸우고 있던 FBI가 조아킨 “엘 차포” 구즈만 로에라 사건을 진행 중이었던 시점이었습니다. 검찰감찰관은 이 해커가 FBI 관계자의 전화 통화 내용과 위치 정보까지 파악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러한 일련의 사실들은 미국 법 집행기관과 폭력적인 멕시코 마약 카르텔 간의 고위험 대결에서 기술이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보여주는 귀중한 사례입니다. 트럼프 정부는 이러한 마약 카르텔을 외국 테러 조직으로 선언하고 엄격하게 단속하는 것을 국가 안보 우선 순위로 두었습니다.
예전에는 하드웨어 중심의 범죄 방식이었던 마약 카르텔들이 요즘에는 점점 기술에 익숙한 젊은 세대에 의해 이끌리고 있습니다. 디지털 화폐를 비롯해 최첨단 감시 기술 등 다양한 IT 도구를 자유롭게 활용하여 글로벌 스케일의 불법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추세는 미국의 국가 안보에도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우려를 자아내고 있습니다. 실제로 FBI와 CIA 같은 기관들에서 이런 위협을 ‘존재론적’이라고 표현하며 경계를 당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FBI의 범죄 및 국가안보 사건들에 지속적으로 위협을 가하는 것은 바로 ‘기술적 감시’라는 개념입니다. 즉, 데이터가 폭넓게 공개되어 적들에게 쉽게 알려져 버리는 것인데요, 최근의 기술 발달로 인해 복잡한 기술 없이도 아주 쉽게 정보를 얻어낼 수 있는 시대가 도래했습니다.
FBI는 이러한 현상을 염두에 두고 검찰감찰관의 걱정거리를 해소하기 위한 ‘전략 계획’을 구축 중이라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이슈로 다루었던 이 문제에 대한 저의 견해를 말씀드리자면, 마약 카르텔과 같은 조직이 IT 기술을 활용하는 방식은 매우 엄중하게 봐야 할 문제입니다. 또한, 이러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행정부와 사법기관이 적극적으로 기술을 활용해야 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이런 조직들과 제대로 싸울 수 있는 방어막을 만들어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