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재무부 장관 스콧 베센트가 중국의 보복 관세 조치에 대해 무게를 두지 않으면서도, 우리나라와의 관세 협상에 나서는 것을 거부하는 것이 유감스럽다고 표현했습니다. 이번 발언은 한창 진행 중인 미-중 무역전쟁에서 새로운 회전점을 제시하며 글로벌 이슈로 부상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관세를 104%까지 올리는 광범위한 조치를 취한 후, 중국은 이에 대응하여 미국 상품에 84%의 고율 관세를 매기는 방식으로 보복했습니다. 그러나 베센트 장관은 최근 Fox Business에서 “중국이 가장 불균형적인 경제를 가진 국가라는 사실과, 자신들이 흑자국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번 에스컬레이션은 중국에게 손해일 수밖에 없다”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또한, “미국의 수출량이 중국의 수출량에 비해 5배 가량 적다는 점을 고려하면, 중국이 관세를 인상해도 실질적인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에 여전히 ‘매우 좋은 개인적 관계’가 유지되고 있다는 베센트 장관의 말로 보아, 미중 양국이 서로 협력할 가능성은 여전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특히 베센트 장관은 “미국이 제조업 분야로 재조정하고, 중국이 소비 쪽으로 재균형화된다면 두 나라 모두 함께 움직일 수 있다”라며 양측간의 상호 이익을 강조했습니다.
베센트 장관은 또한 ‘Wall Street’, 즉 금융 시장보다 ‘Main Street’, 즉 일반 시민들의 경제 성장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월스트리트는 이미 충분한 부를 축적했다. 이제 메인 스트리트의 차례다”라는 그의 발언은 트럼프 정부가 일반 대중의 삶 개선에 집중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베센트 장관은 최근 발효된 관세가 ‘최고치’라면서도, 다른 국가들과의 협상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입장은 미국이 앞으로 기업 뉴스나 글로벌 이슈 등에서 더욱 강력한 입장을 취할 것임을 시사하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요약하자면, 현 시점에서 중국의 경제 상황과 관세 인상이 미-중 무역 전쟁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아직 분명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의 말처럼 중국이 적극적으로 협상에 나서야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은 명백해 보입니다. 이와 같이 글로벌 이슈에 대한 올바른 파악은 우리나라 기업들의 해외 시장 진출에 있어 중요한 기반이 될 것임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