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9일, 트럼프가 새로운 관세에 90일 동안 일시 중단을 명령하다: 단, 중국은 예외

미국 재무부 장관인 스콧 베센트가 중국이 관세 협상에 나서기를 원하지 않는 것은 불행하다고 말하며, 중국을 국제 무역 체계에서 가장 나쁜 위반자라고 비난했습니다. 이러한 발언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관세를 104%까지 올린 후, 중국이 이에 반격해 미국 제품에 대한 관세를 84%로 인상한 뒤에 나온 것입니다.

베센트 장관은 Fox Business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의 관세 인상에 대해 어깨를 으쓱하며 이렇게 말했습니다. “그들은 역사적으로 가장 불균형한 경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확실히 알 수 있는 것은 이번 에스컬레이션이 그들에게 손해라는 것입니다… 그들은 ‘과잉’나라입니다.”

미중 무역 전쟁이나 글로벌 이슈에 대해 살짝 감을 잡으셨나요? 여기서 ‘과잉 나라’란, 수출이 수입보다 많아 무역수지가 흑자인 나라를 말하는데요. 베센트 장관은 중국의 수출이 미국의 수출보다 5배나 많다고 지적하며, “그들이 관세를 올리더라도, 그게 어찌 되었든 문제는 없다”는 주장을 펼쳤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센트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과 중국의 시진핑 주석이 “아주 좋은 개인적 관계”를 계속 유지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중국과 미국이 함께 나아갈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미국이 “제조업으로의 재균형화”를 추구하고 중국이 “소비로의 재균형화”를 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베센트 장관은 또한 이번에 발생한 관세 인상이 ‘천장’ 역할을 하며, 다른 국가들과 협상을 주도할 것임을 밝혔습니다. 즉, 만약 다른 국가들이 보복하지 않는다면 현재의 관세 수준이 최대치로 설정될 것임을 암시했습니다.

그러나 가장 주목해야 할 점은 베센트 장관이 이번 관세 인상이 더 나아가 ‘메인 스트리트’의 성장을 이끌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그는 수십 년 동안 월스트리트(미국 금융 중심지)가 큰 성장을 이루어 왔다면, 이제는 중소기업과 일반 소비자들이 집중되어 있는 메인 스트리트 차례라고 말했습니다.

현 상황에 대한 제 개인적인 해석을 드리자면, 현재 긴장 상태가 계속된다면 트럼프 정부는 중국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들과의 무역 협상에서도 강경한 태도를 보일 가능성이 큽니다. 이러한 시나리오가 현실화될 경우, 경제 불확실성이 증대되며 기업의 투자와 고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기업들은 이러한 변동성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해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