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재무장관인 스콧 베센트가 최근 중국과의 관세 협상에 언급하며, 중국을 국제 무역 시스템에서 가장 나쁜 위반자로 지목했습니다. 그는 “유감스럽게도 중국은 협상에 참여하고 싶어하지 않는다”고 말하면서, 이를 증명하는 대목으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104%라는 파격적인 관세 인상 조치를 취한 후, 반격으로 중국이 미국 상품에 84%의 관세를 부과한 사건을 들었습니다.
그러나 베센트 재무장관은 최근 FOX 비즈니스 인터뷰에서 이러한 중국의 응징조치를 가볍게 여겼습니다. 그는 “중국은 역사상 가장 불균형한 경제체를 가지고 있으며, 이번 에스컬레이션(위기 격화)은 그들에게 손해일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리고 중국이 수출 초과 국가라는 점을 언급하면서 “우리가 중국에 수출하는 것의 5배가 중국이 미국으로 수출하는 양”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므로 중국이 관세를 인상하더라도, 그게 무슨 상관이냐는 식의 발언을 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센트 재무장관은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에 ‘매우 좋은 개인적인 관계’가 계속 유지되고 있음을 강조하면서, 만약 미국이 제조업 쪽으로, 중국이 소비 쪽으로 경제를 재편한다면 양국은 함께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을 밝혔습니다.
베센트 재무장관은 또한 이제 “메인 스트리트(Middle class Americans)”의 성장 차례라며, 다음 4년 동안 트럼프 정부의 주요 과제는 메인 스트리트에 집중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그는 최근 아메리카 은행 협회에서 한 연설에서 “월 스트리트(Wall Street; 금융 기업들)는 이미 충분히 부유해졌으니, 이제 메인 스트리트가 성장할 차례”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또한 이미 발효된 관세 조치들이 “최대 한도”라며, 다른 국가들과의 협상에서 주도적 역할을 맡겠다고 밝혔습니다.
글로벌 이슈에 주목하는 우리는 미국 경제와 중국의 행보를 계속해서 지켜봐야 할 것입니다. 베센트 재무장관의 말처럼, 만약 중국이 미국의 관세 인상에 대응하지 않는다면, 그것이 바로 최대한도가 될 것입니다. 이는 미중 무역전쟁과 관련해 앞으로 어떠한 판단을 내릴지에 대한 신호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