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재무부 장관인 스코트 베센트는 최근 중국이 관세 협상에 나서지 않은 것을 유감으로 생각한다며, 이와 함께 중국을 국제 무역 체계에서 가장 나쁜 위반자라고 비난했습니다. 아마도 대다수의 우리 독자분들이 알듯, 미중 간 경제적 긴장 상황이 지속되면서 양 쪽 모두 관세 인상 카드를 들고 서로를 위협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베센트 장관의 발언은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관세를 104%로 크게 올린 후, 반격조치로 중국이 미국 제품에 84%의 관세를 부과하는 상황에서 나왔습니다. 그러나 베센트 장관은 이번 중국의 보복 조치에 대해 “그들(중국)이 관세를 올리더라도 별 문제가 되지 않는다”며 의연하게 맞섰습니다.
특히 그는 중국경제를 “현대 역사상 가장 불균형한 경제”라고 표현하면서, 중국이 이 관세 전쟁에서 졌다고 강조했습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미국으로부터 수출하는 제품의 양이 미국이 중국에 수출하는 것의 5배나 되기 때문에, 이런 상황에서 관세를 올린다는 것은 결국 자신들에게 해가 될 것이라는 겁니다.
그러나 그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중국의 시진핑 주석 사이에는 “매우 좋은 개인적인 관계”가 계속되고 있으며, 미중 양 국가가 함께 나아갈 수 있는 길은 있다고 말합니다. 그 방법은 바로 미국이 더욱 제조업을 강화하고, 중국이 소비를 활성화하는 방향으로 재정렬하는 것입니다.
또한 베센트 장관은 아메리칸 뱅커스 협회 연설을 통해 오랜 세월 동안 월스트리트만 부유해져 왔지만 이제 ‘메인 스트리트’(일반 국민)도 성장할 차례라고 말했습니다. “월스트리트는 언제나 부유해질 수 있지만, 그동안 이어져 온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은 이제 메인 스트리트에 집중할 차례”라고 발언하였습니다.
그는 또한 현재 시행된 관세는 “최대치”이며, 다른 국가들과의 협상에서 중추 역할을 할 것임을 밝혔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잘못 이해하고 있는 점은 지난 수요일에 적용된 관세가 최고치라는 것입니다.” 재무부 장관은 은행가들에게 말했습니다.
결국 베센트 장관의 말처럼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우선’ 정책 하에서 미국은 제조업 활성화를 통해 더욱 강력한 경제 성장을 추구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었습니다. 동시에 베센트 장관은 전 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무역 분쟁 속에서도 미국의 입장을 유연하게 유지하면서 새로운 협상을 추진할 것임을 약속했습니다.
이번 발언을 통해 미국이 어떻게 중국과의 관세 전쟁, 글로벌 이슈 등에 대처하려고 하는지 약간은 짐작할 수 있습니다. 기업 뉴스나 미국 경제를 주시하고 있는 분들에게는 베센트 장관의 발언이 큰 힌트가 될 것입니다. 그러나 이 모든 상황에서 결정적인 열쇠를 가진 건 바로 시진핑 주석일 가능성이 큽니다. 앞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날 지는 우리 모두가 지켜볼 일이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