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재무부 장관인 스코트 베센트가 중국이 관세 협상을 원하지 않는 것은 유감스럽다고 말하며, 중국을 “국제 무역 체계에서 최악의 위반자”라고 비판했습니다. 이런 발언은 지난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관세를 104%로 크게 올린 이후, 대응으로 중국이 미국 상품에 84%의 관세를 부과한 가운데 나왔습니다.
그러나 베센트 장관은 이에 대해 긍정적으로 받아들여, 중국의 이런 반격은 그들에게 손실일 뿐이라고 전했습니다. 그는 “중국은 역사상 가장 불균형한 경제를 가진 국가”라며, “우리가 중국으로 수출하는 양보다 중국이 미국으로 수출하는 양이 5배나 많다. 그래서 그들이 관세를 올릴 수 있지만, 그게 뭐 어때?”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와 함께 베센트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과 중국의 시진핑 주석이 “매우 좋은 개인적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며, 미국이 “더 많은 제조업으로 재편성하기만 한다면” 중국과 함께 나아갈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베센트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방향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는데요. 그는 “월스트리트는 지금까지 성장해 왔지만, 이제는 ‘메인 스트리트'(일반 시민들)가 성장할 차례”라며 다음 4년 동안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은 일반 시민들을 위주로 집중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또한 부과된 관세가 “상한선”이라며, 다른 국가와 협상을 진행하는 데 앞장설 것이라고 약속했습니다. 베센트 장관의 이런 발언은 미-중 무역 전쟁에서 미국이 상황을 조절하려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이번 발언을 통해 우리는 한 가지 확실히 알 수 있습니다. 그것은 미국 정부가 중국에 대한 경제적 압박을 지속하면서도, 궁극적으로는 상호 협력과 발전을 통해 갈등을 해결하려는 의지를 가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점은 미국이 아닌 우리나라와 같은 다른 나라에서도 고민해봐야 할 문제일 것입니다. 왜냐하면 이런 글로벌 이슈는 결국 우리나라의 경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급변하는 국제 사태 속에서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무엇보다도 자국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되, 세계 경제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베센트 장관의 말처럼 단순히 관세를 올리는 것만이 해결책이 되지 않으며, 국제 사회와의 협력과 동시에 자국 경제의 조율 역시 중요한 과제일 것입니다.
더불어 트럼프 대통령의 ‘메인 스트리트’ 주장은 우리에게도 교훈을 줍니다. 경제 성장은 단순히 대기업이나 투자자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모든 시민이 느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선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과 함께, 기업들의 사회적 책임 인식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