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9일, 트럼프 대통령이 새로운 관세 정책에 90일 동안 중단을 명령하다 – 중국만은 예외

미국 재무장관인 스콧 베센트가 중국이 관세 합의를 위해 협상 테이블에 앉기를 원하지 않는 것은 유감스럽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중국을 “국제 무역 시스템에서 가장 나쁜 공범자”로 지목하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에 대한 광범위한 관세 인상 이후, 중국이 미국 상품에 84%의 관세를 부과하는 일로 보복했다는 사실을 담담하게 받아들였습니다.

그는 “중국은 역사상 가장 불균형적인 경제를 가지고 있으며, 이번 에스컬레이션(경색)은 그들에게 손실일 것입니다… 그들은 흑자 국가입니다.”라며 말했습니다. 그러면서도 베센트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과 중국의 시진핑 주석 간에 여전히 ‘매우 좋은 개인적 관계’가 지속되고 있다고 강조하였으며, 미국이 ‘더 많은 제조업으로 재밸런싱(재조정)’을 시도하고, 중국이 ‘더 많은 소비로 재밸런싱’을 추구한다면 두 나라는 함께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베센트 장관은 이어서 ‘메인 스트리트(Middle America를 대표하는 개념으로서 일반 시민들의 생활)가 월스트리트처럼 성장할 차례’라며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방향에 대해 설명하였습니다. 그는 “월스트리트는 지금까지 보다 더 부유해졌고, 계속해서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다음 네 년 동안, 트럼프의 의제는 메인 스트리트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이제 메인 스트리트의 차례입니다.”라고 말하였습니다.

또한 베센트 장관은 이미 발효된 관세가 ‘상한선’이며, 다른 국가들과의 협상에서 주도적 역할을 할 것임을 밝혔습니다.

결국, 이 글로벌 이슈를 살펴보면 미중 무역전쟁의 심화로 전 세계 경제에 불확실성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베센트 장관의 발언은 이런 현 상황에서 미국의 관세 정책 방향과 중국에 대한 입장을 명확하게 보여줍니다. 그는 중국이 무역에서 불공정한 행동을 취하고 있음을 지적하면서도, 중국이 더 많은 소비를 통해 국가경제를 재조정할 경우 함께 나아갈 수 있음을 시사하는 등 양면적인 메시지를 내놓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동향을 주목해볼 필요가 있으며, 우리나라와 같은 제3국도 이러한 글로벌 이슈에 유연하게 대응해야 할 것입니다. 한편으로는 미중 간의 무역전쟁으로 인한 영향력 감소를 최소화하면서, 반대로 이를 기회로 삼아 새로운 시장을 개척해야 합니다. 이와 같이 글로벌 이슈는 단순히 외부 사건으로 남아있지 않고, 우리나라의 경제 및 국민들의 생활에도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세계의 동향을 주시하고 이에 대한 우리나라의 대응 전략도 꾸준히 고민해보는 것이 필요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