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9일, 트럼프의 국제 통상 전략 : 신규 관세 중단 90일간 대기, 그런데 중국은 예외?

미국 재무부 장관 스콧 베센트가 최근 중국의 관세 대응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그는 중국이 전 세계 무역 체제에서 가장 문제를 일으키는 국가라며, 이와 같은 평가를 내렸습니다.

더욱이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104%의 고율 관세를 부과한 것에 반응해 중국이 미국 상품에 84%의 보복관세를 부과하자 베센트 장관은 Fox Business 인터뷰에서 “그들(중국)은 근대 역사상 가장 불균형적인 경제를 가지고 있고, 이번 에스컬레이션은 중국에게 손실만 가져다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베센트 장관은 자신의 입장을 명확하게 밝혀 중국의 관세 인상에 대해 어깨를 으쓱하며 “중국의 미국 수출액이 우리가 중국으로 수출하는 액수의 5배나 된다. 그래서, 그들은 관세를 올릴 수 있다. 하지만 그래서 어떤가?”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그러나 그는 트럼프 대통령과 중국의 시진핑 주석이 계속해서 “매우 좋은 개인적 관계”를 유지하고 있음을 강조했습니다. 베센트 장관은 미국이 더 많은 제조업으로, 중국이 더 많은 소비로 재배열한다면 두 나라가 ‘함께 나아갈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베센트 장관은 이어서 “이제 ‘메인 스트리트(일반 대중)’가 성장할 차례”라며, 수십년 동안 월스트리트(금융 업계)가 성장한 것처럼 메인 스트리트도 성장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월스트리트는 역대 가장 부유해졌고, 계속해서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다. 하지만 다음 4년간에는 트럼프 정부의 의제가 메인 스트리트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라고 미국 은행협회 연설에서 언급했습니다.

끝으로, 베센트 장관은 적용된 관세가 “상한선”이라고 주장하면서 다른 국가들과 협상에서 선도적 역할을 하겠다는 의지를 보였습니다. 그는 “많은 사람들이 인식하지 못하는 부분은 지난주 수요일에 결정된 관세율이 상한선이라는 점”이라며, “만약 당신이 보복하지 않는다면, 그것이 바로 상한선”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키워드: 미국 경제, 글로벌 이슈, 무역전쟁

이런 비판적인 입장 속에서도 베센트 장관은 여전히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 간의 ‘개인적 친분’을 강조하며 긍정적인 전망을 내비치고 있습니다. 그러나 중미간의 무역전쟁을 끝낼 최적의 해결책은 아직까지 명확하지 않습니다. 베센트 장관의 말대로 미국과 중국이 함께 나아갈 수 있는 방향으로 재배열한다면, 이런 상황은 변화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것이 실현 가능한 가? 아니면 단지 공공연한 희망사항인가? 결론은 아직 미지수입니다.